1. 고독사의 정의와 배경
웰다잉 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현대사회를 살아가면서 주변에 흔하게 들리는 소식은 누군가의 고독사입니다. 고독사는 혼자 살아가며 외부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사망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주로 사회적 고립, 정신적 질병, 그리고 경제적 문제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고독사는 점점 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그 수가 심각하게 급증하고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0%를 넘어서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독사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태 입니다.
고독사는 그저 개인의 문제로 치부할 수 없습니다. 노인들의 고독사, 가족과의 단절, 친구와의 관계 소원 등으로 인해 생기는 그에 따르는 고립감은 개인의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고립 상태에서 발생하는 우울증, 불안장애 등의 정신 질환은 고독사를 초래할 수 있는 주요 원인이 되어집니다. 또한, 경제적 곤란함으로 인해 외부와의 접촉을 꺼리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렇듯 고독사는 개인의 삶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며, 결국엔 사회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 고독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고독사는 그저 개인의 사망 문제에 그치지 않습니다. 외부적으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합니다. 첫째, 고독사는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킵니다. 고독사로 인한 사망은 때론 발견이 늦어지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의료비용 및 장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역 사회와 정부의 부담이 더욱 늘어나게 됩니다.
둘째, 고독사는 범죄율과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고립된 개인은 범죄의 표적에 노출되기 쉽고 이러한 고립감은 범죄 예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범죄자들은 종종 사회적 고립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고독사는 범죄 안전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셋째, 고독사는 사회적 연계성을 약화시킵니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로서 서로 관계를 유지하며 소통하며 살아갈 때 더욱 삶의 원동력을 얻게 되고 활기찬 에너지를 얻게 되는데 사람들 간의 관계가 단절되면 공동체 의식이 약해지며, 이는 결국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밖에 없습니다. 고독사가 증가하는 사회에서는 서로간의 신뢰와 이해가 줄어들며, 이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을 초래할수 있습니다.
3. 현대 사회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현대 사회에서 고독사가 증가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작용합니다. 첫째,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 구조와 문화는 개인 간의 관계를 둔화 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은 온라인에서 소통하는 데 익숙해져 오프라인 에서의 인간 관계는 소홀해지고 있습니다. 저 또한 업무적인 것 외에는 예전에 알던 지인들과는 거의 연락이 소홀하게 되고 통화하는 시간조차 생각지 않게 되고 웬만한 것들은 sns를 통하여 연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느끼는 것은 여러분도 마찬가지 일것이고 이러한 사회변화와 사람들의 인식이 현대 고독사를 더욱 가속화 시키고 있습니다.
둘째, 경제적 불평등은 서민들의 고독사를 일으키는 또 다른 요인이 됩니다. 갈수록 경제가 더욱 힘들고 전세계적으로 힘든 상황에 있습니다. 저희 나라의 대표 기업인 삼성 마저 많은 인원 감축을 해야할 만큼 휘청 거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고용 불안정과 주거비 상승은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만들고, 물가 폭등 또한 이러한 고립감을 증대시킵니다. 이런 불평등을 느끼는 것은 특별히 노인층 뿐만이 아닌 전 세대가 비슷할 것 같습니다.
셋째, 사회적 지원 체계의 부족도 정말 큰 문제 입니다. 고독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 사회에서의 지원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원봉사자나 사회복지사들이 고독사 위험군을 적극적으로 찾아내어, 그들과의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만큼 지역사회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력을 충원하여 문제점들을 파헤치고 재정비 할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결국, 고독사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심각한 문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분위기 개선과 함께 정부차원의 실질적인 지원 체계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고독사라는 그림자를 인지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며 사회 전반적 흐름을 바꾸어야 할 때 입니다.
댓글 쓰기